안내
확인
U
회원관리
로그인
가입
찾기
회원아이디
패스워드
로그인유지
회원아이디
이름
이메일
휴대폰번호
패스워드
패스워드 재입력
회원이용약관 및 개인정보 취급방침에 동의 합니다
회원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처리방침 보기
아이디찾기는 이름을 입력, 패스워드찾기는 아이디를 입력
회원가입시 이메일 입력
에듀씨코리아
U
에듀씨코리아
분류
전체보기
식물
해외여행
국내여행
아동문학
텃밭 식물
텃밭 식물
신규
인기
베스트
추천
구매
팬심
알림
문의
910
0
0
0
3
0
9년전
0
외나무다리와 돌다리
EPUB
구매시 다운가능
32.6 MB
기술일반
정진해
유페이퍼
모두
사람은 생활의 편리성을 위해 소하천이나 계곡 등에 나무나 돌을 이용하여 목표한 지점을 가려고 하였다. 사람은 강가나 바닷가 한곳에 여럿이 모여 사는 것이 농경과 어로에 편리하였고 주변의 짐승이나 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에 효과적이었다. 강을 건너거나, 계곡을 건너기 위해 무엇인가 필요로 하였다. 산길을 거닐면서 앞에 와 닿는 계곡을 만나면 긴 나무를 잘라서 걸쳐놓고 그곳을 지나갔다. 개울가에 발이 물에 닿지 않기 위해 발을 디딜 만큼의 크기 돌을 하나씩 줄지어 놓은 다음 그 돌의 밟고 건너갔다. 나무와 돌을 이용하여 건너갈 수 있었을 것이다. 이것이 다리의 시원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그러나 많은 다리는 다양한 환경에 의해 그 흔적을 남기지 않고 모두 감추어버렸다. 특히 나무다리는 그 존재조차 알 ..
8,000
원 구매
목차
91
소개
저자
댓글
0
판권 페이지
저자소개
머리말
목차
제1장. 옛다리의 발달
1. 구석기.신석기시대
2. 메소포타미아 지방
3. 중국
4. 한국
제2장. 옛 다리의 구분
1. 다리의 구분
2. 재료에 따른 구분
1). 흙다리(土橋)
2). 나무다리(木橋)
3. 형식에 따른 구분
1). 보다리(析橋,板橋)
2). 구름다리(虹橋, 拱橋, 虹霓橋)
3). 징검다리(徒打, 跳橋)
4). 누다리(樓橋)
5). 매단다리(吊橋, 弔橋, 棧橋)
6). 배다리(舟橋, 浮橋)
◈ 주교사(舟橋司) 설치의 배경과 부교 가설(浮橋架設)
제3장. 다리의 구성
1. 기본시설
1). 다리 바닥(橋面)
2). 멍에(駕木)
3). 다리기둥(橋脚)
4). 기초(基礎)
2. 부대시설
1). 난간(欄干)
2). 벽사시설
3). 다리 비(橋碑)
4). 수표(水標)
제4장. 다리의 종류
1. 도성의 옛다리
1). 한성(漢城 )의 다리
2). 청계천의 다리
◈ 광통교
◈ 장통교
◈ 수표교
◈ 오간수교
3). 개성(開城 )의 다리
2. 궁궐의 다리
3. 성곽의 다리
4. 사찰의 다리
5. 마을의 다리
청주 남석교
6. 옛 다리 명칭
제5장 옛 다리
01. 강경미내다리<미내교:渼奈橋>
02. 경복궁 영제교
03. 경주 월정교
04. 경주 효불효교
05. 고성건봉사능파교(高城乾鳳寺凌波橋)
06. 고성육송정홍교(高城六松亭虹橋)
07. 고흥옥하리홍교(高興玉下里虹橋)
08. 남원오작교
09. 논산원목다리<원항교>(論山원목다리<院項橋>)
10. 달성 척진교(유가만세교)
11. 대천한내돌다리(大川한내돌다리)
12. 만덕교
13. 만안교(萬安橋)
14. 벌교도마교 및 석비(筏橋逃馬橋 및 石碑)
15. 벌교홍교(筏橋虹橋)
16. 병영성홍교(兵營城虹橋)
17. 불국사연화교칠보교(佛國寺蓮華橋七寶橋)
18. 불국사청운교백운교(佛國寺靑雲橋白雲橋)
19. 선암사승선교(仙巖寺昇仙橋)
20. 송광사삼청교 및 우화각(松廣寺三淸橋및羽化閣)
21. 수원성 화홍문
22. 수표교(水標橋)
23. 쌀다리
24. 영광도동리홍교(靈光道東里虹橋)
25. 영산만년교(靈山萬年橋)
26. 옥천청석교(沃川靑石橋)
27. 주남돌다리(注南돌다리)
28. 전곶교(箭串橋)
29. 진도남동리쌍운교 및 단운교(珍島南洞里雙雲橋 및 單雲橋)
30. 진천농교(鎭川籠橋)
31. 창경궁 옥천교(玉川橋)
32. 창경궁 지당석교
33. 창덕궁 금천교
34. 청원문산리석교(淸原文山里石橋)
35. 태안사능파각(교)
36. 함평고막천석교(咸平古幕川石橋)
37. 향원정 취향교
38. 홍지수문교(五間水門橋)
39. 흥국사홍교(興國寺虹橋)
40. 영주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41. 판운리 섶다리
출판사항
사람은 생활의 편리성을 위해 소하천이나 계곡 등에 나무나 돌을 이용하여 목표한 지점을 가려고 하였다. 사람은 강가나 바닷가 한곳에 여럿이 모여 사는 것이 농경과 어로에 편리하였고 주변의 짐승이나 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에 효과적이었다.
강을 건너거나, 계곡을 건너기 위해 무엇인가 필요로 하였다. 산길을 거닐면서 앞에 와 닿는 계곡을 만나면 긴 나무를 잘라서 걸쳐놓고 그곳을 지나갔다. 개울가에 발이 물에 닿지 않기 위해 발을 디딜 만큼의 크기 돌을 하나씩 줄지어 놓은 다음 그 돌의 밟고 건너갔다. 나무와 돌을 이용하여 건너갈 수 있었을 것이다. 이것이 다리의 시원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그러나 많은 다리는 다양한 환경에 의해 그 흔적을 남기지 않고 모두 감추어버렸다. 특히 나무다리는 그 존재조차 알 수 없지만, 돌을 다듬어 놓은 다리는 지금도 곳곳에 남아 있다. 평다리가 있는가 하면 무지개다리(홍예교)도 있다.
우리조상들은 예로부터 마을에 놓는 다리는 자연의 일부로 동화시켜 구성하였다. 동경의 대상이 일곱 빛깔 무지개를 따라 저 머나먼 하늘나라를 동경해 왔기 때문에 곳곳에 무지개 모양의 홍예교를 남겼다. 멀리서 보면 무지개가 박혀있는 모습을 보고 착안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영주 무섬마을의 외나무징검다리는 지금까지 남아 있는 나무다리 중에서 가장 오래도록 사용되어 오지 않을까 한다. 물론 나무가 썩으면 다시 교체하여 옛 모습을 그대로 보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들인다. 이 다리에는 죽은 이의 황천길을 보내기 위해 상여가 나갔고, 새색시가 시집오는 날 가마를 타고 거닐었던 다리다. 영월의 주천에 섶다리(흙다리)가 놓여 있다. 이러한 다리는 오래되지 않았지만 추억으로 만들 수 있는 길로 남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옛 다리를 거닐어 본 적이 없는 이들에게 옛 다리의 아름다움을 표현해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나, 우리의 삶이 반영된 외나무다리와 돌다리에서 그 가치를 발견하고 현대적인 계승 방법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자 정진해
대학교에서 젊은이들에게 학문을 가르쳐 왔다. 그러나 우리의 전통문화를 널리 알리는 일에 전념하기 위해 문화재와 인연을 맺었다. 문화재의 아름다움은 곧 한 포기의 야생화도 한 몫을 한다는 것을 찾아냄으로써 문화재와 토종식물이 어우러지는 전통문화를 알리기 위한 강좌 및 현장 지도를 하고 있다. 특히 문화유산과 토종식물에 대한 깊이 있는 글을 책(종이책과 전자책)으로 남겨 많은 독자로부터 호평을 받으며, 지금도 독자를 향해 문화유산과 토종식물에 관한 글은 계속되고 있다. 매주 신문지상에 소개되는 문화재 바로알기와 매월 월간지를 통해 토종식물을 바로알기 위한 글이 연재되고 있다.
현재는 한국전통문화진흥원에서 맛 따라 구석구석을 진행하고, 한국능력개발원에서 강의하고, 에듀씨코리아의 작가, 한국엔지오신문 문화재 전문위원, 문화재청 문화유산채널의 사진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는 문화재분야(자연과 문화를 찾아 속리산문화기행 외)와 토종식물분야(들꽃과의 이야기 외), 문학분야(아침모퉁이 집 외) 등 90여종에 이른다.
이컨텐츠에 대해 남기고 싶은 말은?
확인
수정확인
수정취소
U캐쉬로 구매하기
상품컨텐츠명
상품세부내용
결제전 U캐쉬
0 UCASH
결제할총금액
원
결제후 U캐쉬
UCASH
저자무료 선물증정
선물받는분 이메일
여러 이메일 입력시 ; (세미콜론) 구분, 이메일주소 최대 100개까지 가능.
선물 보낼 내용입력
300글자 이내의 메시지만 가능합니다.
구독권 결제
신용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생년월일
사업자번호
패스워드
앞2자리
로그인
가입
에
에듀씨코리아
분류
전체보기
식물
해외여행
국내여행
아동문학
텃밭 식물
텃밭 식물
신규
인기
베스트
추천
구매
팬심
팬심
알림
문의
프로필
팔로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