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2 0 0 0 22 0 9년전 0

산들꽃 이야기

사계절 식물을 찾아 들로 산으로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주말이면 등산을 하고, 여름이면 냇가나 바닷가에서 무더위를 식힌다. 가을이면 농촌사람들은 바쁜 일손에 추수를 하고 과일을 따지만, 도시사람들은 단풍 구경을 위해 산으로 여행을 떠난다. 겨울이 되면 황량한 들판을 보며 봄이 오기를 기다린다. 이러한 생활 패턴은 최근 들어 도시와 농촌간에 현격한 차이가 점차 좁아져 느끼지 못할 정도로 변화되었다. 도시에 살던 사람들이 현대화된 생활을 청산하고 자연과 어우러지는 생활을 위해 귀농하는 가정이 늘어가고 있다. 농촌에서 생활했던 옛 추억을 생각하며 들과 산을 찾고, 식물과 동물에 대한 관심, 건강을 위한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나가려 한다. 좀더 관심있게 야생초를 들여다 보면..
사계절 식물을 찾아 들로 산으로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주말이면 등산을 하고, 여름이면 냇가나 바닷가에서 무더위를 식힌다. 가을이면 농촌사람들은 바쁜 일손에 추수를 하고 과일을 따지만, 도시사람들은 단풍 구경을 위해 산으로 여행을 떠난다. 겨울이 되면 황량한 들판을 보며 봄이 오기를 기다린다. 이러한 생활 패턴은 최근 들어 도시와 농촌간에 현격한 차이가 점차 좁아져 느끼지 못할 정도로 변화되었다.
도시에 살던 사람들이 현대화된 생활을 청산하고 자연과 어우러지는 생활을 위해 귀농하는 가정이 늘어가고 있다. 농촌에서 생활했던 옛 추억을 생각하며 들과 산을 찾고, 식물과 동물에 대한 관심, 건강을 위한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나가려 한다.
좀더 관심있게 야생초를 들여다 보면 연약한 줄기에서 돋아나는 잎과 꽃봉오리는 새로운 생명의 탄생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반도 4천여 종이나 되는 식물은 언제쯤 다 볼 수 있을지 한계가 있음을 느낀다. 식물과 연결고리를 끊지 못함은 곧 나의 삶과 함께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식물 하나하나 특성을 찾고, 보고, 느낌을 정리하여 식물을 알고자 하는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또한 식물에 얽힌 이야기를 찾아 아낌없이 더 많은 정보를 전해 주려고 노력한다. 위급할 때 치료약이 되고, 허기질때 먹을거리가 되고, 체험학습에 교재가 되고. 관광자원이 되는 식물을 오늘도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 책은 오랫동안 푸른 터전을 지켜온 많은 식물들의 숨겨진 이야기를 주저리 주저리 엮어 보았다. 읽으면서 식물을 알고 식물을 사랑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작은 바램이다. 식물을 통해서 나의 마음과 자연이 주는 무한한 선물을 찾으려는 사람들에게 이 책을 바친다.
정진해

강원도 동해시 대진(한나루)
한올문학 시인 등단
국보문학 수필가 등단
한국토종식물해설사협회 회장
문화재청 헤리티지채널 사진기자
한국문화재재단 사진작가
에듀씨코리아 작가
한국엔지오신문 전문기자
전통문화해설 및 토종식물해설사 활동

[저서]
한국야생화도감(1, 2, 3, 4, 5, 6)
한국수목화도감(1, 2)
약용식물도감, 야생초&나무
우리땅에서 자라는 야생초와나무 792
한국토종약용식물도감(초본류, 목본류)
내고장(한국) 문화유산 시리즈(경기도외13편)
한국문화유산용어사전, 아름다운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한국의전통가옥, 한국의 고건축, 한국성곽총람,
한국의 옛다리, 한국석탑총람, 한국의 석등,
한국의 부도탑, 한국의 기왓장, 한국의 석빙고,
고인돌을 찾아서, 한국의 민속자료, 한국의 봉화대
한국전통문양, 한국화폐변천도록, 한국의 탈
동트는 동해시 문화기행, 남대천이 흐르는 양양문화기행
천연동굴이 있는 삼척문화기행, 솔향강릉문화기행
금강산이 보이는 고성문화기행, 설악산이 보이는 속초문화기행
고인돌이 있는 강화문화기행, 임진강을 따라가는 파주문화기행
자연과 문화를 찾아가는 속리산문화기행, 야생초이야기,
왕릉의 역사가 숨쉬는 고양문화기행, 문화유산이야기,
다산의 역사가 살아있는 남양주문화기행,
아름다운 해금강을 따라 거제문화기행, 태안문화기행
심학산의 날개, 토종약용식물도감, 들꽃과의 이야기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