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확인
U
회원관리
로그인
가입
찾기
회원아이디
패스워드
로그인유지
회원아이디
이름
이메일
휴대폰번호
패스워드
패스워드 재입력
회원이용약관 및 개인정보 취급방침에 동의 합니다
회원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처리방침 보기
아이디찾기는 이름을 입력, 패스워드찾기는 아이디를 입력
회원가입시 이메일 입력
에듀씨코리아
U
에듀씨코리아
분류
전체보기
식물
해외여행
국내여행
아동문학
텃밭 식물
텃밭 식물
신규
인기
베스트
추천
구매
팬심
알림
문의
307
0
0
0
16
0
4년전
0
<축성의 미학> 수원화성을 걷다
PDF
구매시 다운가능
317p
39.7 MB
역사.문화
정진해
에듀씨코리아
모두
수원화성을 축성하고 외적과 몇 번의 교전이 있었을까? 결론은 평화로운 세상만 있었다고 말하고 싶다. 그러나 성은 사람의 입김과 자연의 힘에 조금씩 무너졌고, 다시 쌓았다. 전쟁을 위해서가 아니라 정조의 야심 찬 계획의 결과물을 바르게 보기 위해서이다. 두 눈으로 보고 만져보고 가슴에 담으며 한 바퀴 돌다. 성벽이 있고 시설물이 있다. 큰 돌과 작은 돌을 최대한 사용하여 만리장성보다 정교하게 마무리를 하였다. 우리 선조들의 돌을 다룬 솜씨를 감탄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서로 면과 면을 맞추어 일정하게 축성할 수 있다는 것은 조선의 정신이 견고하기 때문이다. 연무대의 외사문을 들어서는 순간 성곽을 둘러보는 첫발이 된다. 협문을 나서면 우뚝 솟아 있는 동북공심돈에 성곽의 장엄함을 느끼고, 동북노..
20,000
원 구매
목차
96
소개
저자
댓글
0
<축성의 미학> 수원화성을 걷다
저자
책 머리에
차례
<축성의 미학> 수원화성을 걷다
1. 정조대왕 만나다
2. 수원화성을 그리다.
3. 성 따라 한 바퀴
동장대
동북공심돈
동북노대
창룡문
동일포루
동일치
동포루
동이치
봉돈
동이포루
동삼치
동남각루
남수문
팔달문
남치
남포루
서남암문과 포사
용도
서남각루(화양루)
서남치
서포푸1
서암문
서장대
서노대
서이치
서포루2
서일치
서북각루
화서문(보물 제403호)
서북공심돈(보물 제1701호)
북포루
북서포루
북서적대
장안문
북동적대
북동치
북동포루
화홍문
동북각루(방화수류정,보물 제1709호)
북암문
동북포루
동암문
성벽 축성
4. 축성의 예술을 담다
V자 모양의 성돌 축조
십자형 성돌 축조
역ㄴ자형 성돌 축조
쇄기형 성돌 축조
돈두형(豚頭形) 성돌 축조
대(大)자형 성돌 축조
모임형 성돌 축조
사다리형 성돌 축조
석판쇄기형 성돌 축조
눈꼽돌형 성돌 축조
대소형 성돌 축조
가로쇄기형 성돌 축조
6면체형 성돌 축조
5. 행궁을 둘러보다
행궁지
신풍루(新豊樓)
좌익문(左翊門)
중양문(中陽門)
봉수당(奉壽堂)
장락당(長樂堂)
유여택(維與宅)
경룡관(景龍館)
복내당(福內堂)
낙남헌(洛南軒)
노래당(老來堂)
득중정(得中亭)
집사청(執事廳)
북군영(北軍營)
남군영(南軍營)
서리청(書吏廳)
비장청(婢將廳)
미로한정(未老閒亭)
내포사(內鋪舍)
외정리소(外整理所)
6. 화령전
7. 성 밖과 안을 보다
화성기적비(華城紀蹟碑)와 화성복원정화기념비
여민각(종각)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녹로
거중기
유형거
선정비
출판사항
수원화성을 축성하고 외적과 몇 번의 교전이 있었을까? 결론은 평화로운 세상만 있었다고 말하고 싶다. 그러나 성은 사람의 입김과 자연의 힘에 조금씩 무너졌고, 다시 쌓았다. 전쟁을 위해서가 아니라 정조의 야심 찬 계획의 결과물을 바르게 보기 위해서이다.
두 눈으로 보고 만져보고 가슴에 담으며 한 바퀴 돌다. 성벽이 있고 시설물이 있다. 큰 돌과 작은 돌을 최대한 사용하여 만리장성보다 정교하게 마무리를 하였다. 우리 선조들의 돌을 다룬 솜씨를 감탄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서로 면과 면을 맞추어 일정하게 축성할 수 있다는 것은 조선의 정신이 견고하기 때문이다.
연무대의 외사문을 들어서는 순간 성곽을 둘러보는 첫발이 된다. 협문을 나서면 우뚝 솟아 있는 동북공심돈에 성곽의 장엄함을 느끼고, 동북노대를 오르며 성벽의 짜임을 읽을 수 있고, 창룡문을 나서니 옹성의 깊이를 알 수 있다.
불과 연기를 피워 적의 동태를 파악하던 봉돈의 횃불은 꺼졌지만 통신의 발전상을 간직하고 있다. 포루, 치성, 각루 등은 병사들의 활약상을 그릴 수 있고, 팔달문에 이르러 웅장한 성문이 역사 속으로 날아갈 듯 기상을 펴고 있다.
팔달산을 따라 적의 동태를 파악하던 서장대는 매의 눈으로 주변을 살핀다. 화서문의 둥글게 쌓은 옹성, 서북공심돈의 기상은 화성의 위용을 과감하게 보여준다.
포루와 화홍문을 연결하여 물을 흘려보내고, 용연은 각루와 수양 버드나무의 달그림자를 담는다. 성벽은 굽이굽이 지형에 따라 오르고 내리고 한 발씩 내딛으면서 다시 연무에 이르니 성곽 축성의 미학을 오롯이 담을 수 있다.
기존의 목재와 석재 사용에서 벗어나 벽돌을 도입하면서 화성의 건축물은 전통의 기술을 한층 더 개선하여 만들어졌다. 늘 보아도 부족하지만 보고 느낀 만큼 다듬어 '축성의 미학 수원화성을 걷다'라는 제목으로 엮어 보았다.
세계문화유산 체험과 함께 정조가 꿈꾸던 새로운 혁신과 역사를 이해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정진해
한국엔지오신문 문화재전문위원/전문기자
한국토종식물해설사협회 회장
한국능력교육개발원 교수
전통문화·토종식물·마을문화해설 강사
에듀씨코리아 작가
[저서]
동해시 문화기행/ 양양문화기행/ 삼척문화기행/
강릉문화기행/ 고성문화기행/ 속초문화기행/
강화문화기행/ 속리산문화기행/ 고양문화기행/
남양주문화기행/ 거제문화기행/ 태안문화기행/
한국의 탈/ 한국의 전통가옥/ 한국의 고건축/ 한국성곽총람/
한국의 부도탑/ 한국의 석등/ 한국의 석빙고/ 한국석탑총람/
한국의 민속자료/ 바다부채길의 비밀/ 심학산의 날개/
슬로시티 증도/ 문수산성 문화기행/ 짚신발로 떠난 제주 올레길/
추녀에 엮인 옛 편지/ 외나무다리와 돌다리/ 초석에 담긴 편지/
문화유산 이야기/ 길에서 담은 조약돌/ 굽이 굽이 대관령 옛길/
흙돌나무풀의 유산/ 길에서 문화를 찾다/ 일출! 가슴에담다/
정으로 쪼고 자귀로 다듬다/ 울릉도 길 문화/ 옛 얼음창고/
마을 민속유산/
이컨텐츠에 대해 남기고 싶은 말은?
확인
수정확인
수정취소
U캐쉬로 구매하기
상품컨텐츠명
상품세부내용
결제전 U캐쉬
0 UCASH
결제할총금액
원
결제후 U캐쉬
UCASH
저자무료 선물증정
선물받는분 이메일
여러 이메일 입력시 ; (세미콜론) 구분, 이메일주소 최대 100개까지 가능.
선물 보낼 내용입력
300글자 이내의 메시지만 가능합니다.
구독권 결제
신용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생년월일
사업자번호
패스워드
앞2자리
로그인
가입
에
에듀씨코리아
분류
전체보기
식물
해외여행
국내여행
아동문학
텃밭 식물
텃밭 식물
신규
인기
베스트
추천
구매
팬심
팬심
알림
문의
프로필
팔로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