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0 0 0 0 0 19일전 0

풍경이 있는 정자(亭子)

계절이 바뀌고, 사람들이 스쳐가도 정자는 말없이 늘 그 자리를 지키며 풍경을 담아낸다. 자연의 한가운데 있으면서도 자연을 바라보는 자리, 세상의 소란을 잠시 멈추게 하는 작은 틈. 그곳에 앉으면 비로소 안다. 진정한 쉼이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잠시 멈추어 바라보는 눈과 고요히 듣는 귀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풍경은 변하고 또 되돌아오지만, 그 안에 담긴 삶의 울림은 늘 새롭다. 누정(樓亭)은 자연 속에서 그 의미를 찾는 것이 우선이다. 누정에 올라 사방을 둘러보면, 옛 선비들이 얼마나 높은 이상을 품었는지 가늠할 수 있다. 그들에게는 가로막는 장애물이 없었고, 오히려 자연이 곧 사색과 깨달음의 장이었다. 숲이 있고, 물이 흐르고, 넓은 들이 펼쳐지며, 하늘과 구름이 조화를 이루는 정자는 선비..
계절이 바뀌고, 사람들이 스쳐가도 정자는 말없이 늘 그 자리를 지키며 풍경을 담아낸다. 자연의 한가운데 있으면서도 자연을 바라보는 자리, 세상의 소란을 잠시 멈추게 하는 작은 틈. 그곳에 앉으면 비로소 안다. 진정한 쉼이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잠시 멈추어 바라보는 눈과 고요히 듣는 귀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풍경은 변하고 또 되돌아오지만, 그 안에 담긴 삶의 울림은 늘 새롭다.
누정(樓亭)은 자연 속에서 그 의미를 찾는 것이 우선이다. 누정에 올라 사방을 둘러보면, 옛 선비들이 얼마나 높은 이상을 품었는지 가늠할 수 있다. 그들에게는 가로막는 장애물이 없었고, 오히려 자연이 곧 사색과 깨달음의 장이었다.
숲이 있고, 물이 흐르고, 넓은 들이 펼쳐지며, 하늘과 구름이 조화를 이루는 정자는 선비들에게 풍류를 즐기고, 시를 읊으며, 벗들과 정담을 나누기에 더없이 좋은 공간이었다.
바닷가의 정자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파도와, 넉넉한 인심이 흐르는 마을과 해변이 있어 생명의 움직임을 온전히 품은 곳이다. 강가의 정자는 울창한 나무와 흘러내린 물줄기와, 선선한 바람은 선비들의 마음을 한층 풍요롭게 만들었다.
고려 말의 문인 안축은 이렇게 말했다.
"천하의 모든 사물은 형체가 있는 한 반드시 이치가 있다. 크게는 산과 물이 그러하고, 작게는 주먹만 한 돌 하나, 한 치의 나무 한 그루에도 그 원리가 깃들어 있다. 그러므로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은 그 이치를 깨닫고 흥취를 느끼며 즐거워한다. 누대와 정자를 짓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형체가 기이한 것은 눈으로 감상할 수 있고, 이치는 깊이 숨어 있어 마음으로 찾게 되는 것이다."
조선 시대의 대학자 송시열은 남의 정자를 빌려 몇 달 동안 조용히 글을 읽었더니, 지난 1년 동안 읽은 책의 양에 맞먹을 만큼 깊이 있는 공부를 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렇듯 누정은 단순한 쉼터가 아니라 학문과 수양의 공간이기도 하다.
비록 전국의 모든 정자를 담지는 못했지만, 옛 선비들의 발자취가 있는 정자들을 찾아 <풍경이 있는 정자>에 기록하였다. 앞으로도 아직 발길 닿지 않은 정자를 찾아, 숨겨진 보석 같은 역사와 문화를 발굴하는 데 힘을 보태고자 한다.
정진해(鄭鎭海)

한국엔지오신문 문화재전문 대기자
국제문화재전략센터 K-헤리티지뉴스 문화재전문기자
한국현대시인협회 전통문화 위원
부천문인회 이사
한국NGO신문 신춘문예운영위원
한국능력교육개발원 문화유산해설강사
에듀씨코리아 작가

[저서]
문수산성 문화기행 /발길따라 만나는 문화유산 이야기 /길에서 담은 조약돌 /굽이굽이 대관령 옛길 /흙돌나무풀의 유산 /길에서 담은 조약돌 /정으로 쪼고 자귀로 다듬다 /추녀에 엮인 옛 편지/ 수원화성을 걷다 /궁궐의 정자 /강화도 54돈대의 흔적 /다낭힐링여행 /체코 프라하의 낭만/ 사쿠라지마 화산 /슬로시티 증도 /길에서 문화를 찾다 /일본 오제습지원길 /길의 가치 /찰츠부르크 길 여행 /크로아티아 자연과 유적 여행/ 실크로드를 가다 / 산나물 101종 /들나물 105종 /텃밭 잡초 86종 이야기 /텃밭 작물 58종 이야기 /꽃의 이력 92 하나 둘 /천연염료식물도감 /텟밭에서 찾은 귀농의 가치 /한국토종약용식물도감(초본편, 목본편) /야생초와 나무 792 /옛 얼음 창고 /마을 민속 유산 /당간과 당간지주 /한국화폐변천도록 /한국석탑총람 /한국성곽총람 /한국수목화도감(1~2) /차 활용 식물 149종 /여섯올 님의 사랑 연줄로 묶고. /아침모퉁이집. /또 하나의 문화유산. /꽃의 나라 동화. /하비랑 숨바꼭질하자. /다람쥐의 여정 /한강에 온 인어공주 /왕이 된 청개구리 /해바라기 마을 길 /꽃이야기도감(1.2) /들꽃과의 이야기 /덧없는 사랑 변산바람꽃 /도란도란 야생초 이야기 /산들꽃 이야기 /낮선 창으로 본 석양 등 다수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